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대한항공 마일리지 공제표 및 사용방법

by 발1 2024. 3. 22.
반응형

 

 

 

하늘길이 다시 열리면서 많은 분들이 대한항공 마일리지를 활용해 여행 계획을 세우고 계시죠. 저 오랫동안 모은 마일리지를 사용해 보너스 항공권을 구매할 예정입니다. 대한항공 마일리지 공제표와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 

대한항공 마일리지 공제표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2024년 현재, 대한항공 마일리지를 사용하여 보너스 항공권을 발권할 때는 성수기와 평수기를 잘 확인해야 합니다. 특히 편도 기준으로 제시된 마일리지 공제표를 기반으로 왕복 항공권을 발권하려면 필요한 마일리지가 2배가 됩니다.

 

성수기에는 평수기보다 더 많은 마일리지가 필요합니다. 성수기는 노선별로 다르며 해마다 변경될 수 있습니다. 지역별로 성수기 및 평수기 기간을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대한항공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대한항공 지역별 성수기 확인하러 가기

 

대한항공 마일리지 지역구분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대한항공을 이용하면 전 세계 다양한 도시로 여행을 떠날 수 있으며 마일리지를 활용해 항공권을 발권할 수 있습니다. 특히 동남아시아 노선 중 발리노선은 가성비가 좋아 많은 이용객들에게 인기가 높습니다. 발리노선은 평수기 기준으로 4만 마일리지로 왕복 항공권을 발권할 수 있어 마일리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.

 

 

마일리지 사용방법

보너스 항공권 발권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대한항공 마일리지를 활용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는 보너스 항공권을 발권하는 것입니다. 이러한 보너스 항공권은 일반 항공권과 별도로 관리되며 한정된 수량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마일리지로 항공권을 구매하려면 빠른 발권이 중요합니다. 대한항공 마일리지를 사용하여 보너스 항공권을 발권하는 과정은 간단하며 몇 단계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습니다. 아래의 단계를 따라 하시면 마일리지로 여정을 계획하고 항공권을 발권할 수 있습니다.

 

  1. 대한항공 홈페이지 또는 앱 접속: 먼저 대한항공 홈페이지나 앱에 접속하여 '항공권 예매' 섹션으로 이동합니다. 그 후, 마일리지 예매 옵션을 선택하세요.
  2. 구간 정보 입력: 여행하고자 하는 지역, 탑승 정보(날짜 및 인원), 그리고 원하는 좌석 등급을 입력합니다.
  3. 탑승일 선택: 여정에 맞는 탑승일을 선택합니다.
  4. 보너스 좌석 캘린더 확인: 대한항공 홈페이지에서는 보너스 좌석 캘린더를 통해 보너스 항공권의 가능 여부를 확인할수 있습니다. 이를 통해 원하는 날짜에 가능한 항공편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.
  5. 항공편 선택 및 결제 예상금액 확인: 원하는 항공편을 선택한 후, 결제 예상금액을 확인합니다. 이 금액에는 마일리지 공제 외에도 세금 및 수수료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.

대한항공 노선별 보너스 항공권의 잔여 좌석 정보는 대한항공 홈페이지에서 '보너스 좌석 조회하기' 기능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이를 통해 계획하신 여행에 맞는 좌석을 더욱 효율적으로 찾아볼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대한항공 보너스 좌석 조회하러 바로가기

 

좌석 승급

 

 

적립한 마일리지로 항공권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바로 좌석 승급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. 이 방법은 구매 단계에서 진행됩니다. 이미 구매한 항공권에 대해 나중에 좌석 승급을 원할 경우 대한항공 홈페이지에서 나의 여행 조회를 통해 승급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. 이 경우 일반석 플렉스 운임, 프레스티지석 플러스/플렉스 운임 항공권이 대상입니다.

국제선 항공편의 경우 최소 일반석 플렉스 이상의 운임으로 구매한 항공권에 한해 좌석 승급이 가능합니다. 승급에 필요한 마일리지는 노선 및 좌석 등급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.

좌석 승급 공제 마일리지 확인하러 가기

 

 

좌석 승급 공제 마일리지 확인대한항공 마일리지를 활용한 좌석 승급은 여행의 편안함을 한층 더 높여주는 좋은 방법입니다. 여행 계획을 세우실 때 이 정보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! 안전하고 즐거운 여행 되세요😊🌍

 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